MVC 패턴
- 프로그램을 세가지 파트(역할)로 구분하여 개발하는 방법론
- MODEL 2 기반의 MVC패턴을 적용한다
- Model, View, Controller 의 약자
- Model
- 데이터베이스(저장소)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파트
- 데이터베이스(저장소)의 데이터를 관리
- DAO, DTO 가 Model 에 해당한다.
- View
-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파트
- 프레젠테이션 로직
- Controller
- 사용자의 입력처리, 프로그램 흐름제어, 사용자와의 상호작용
- 비지니스 로직
- 웹 프로그래밍에서는 Controller의 역할을 나누어 Service Layer를 둔다.
- Service 계층은 비지니스 로직의 일부
Controller 의 역할
- 사용자의 입력 처리
-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처리(가공)하기
- 도메인(Domain) 객체를 처리하는 로직
- 도메인 객체 == DB데이터 객체 == VO == DTO
- View 의 요청, 어떤 화면을 보여줄 것인지 View를 선택한다, Model(DB 데이터) 과 View(화면)의 연결지점이 된다.
- DAO가 처리한 결과를 View에 전달한다.
- 역할 3번(도메인로직)을 Service가 담당하도록 만든다.
반응형
'BackEnd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자바 서블릿의 동작원리 Servlet (0) | 2020.10.10 |
---|---|
[Java] 자바 서블릿, Servlet (0) | 2020.10.10 |
[Java] 자바 Execute 메소드란? (1) | 2020.10.09 |
[Java] 자바 DAO, Data Access Object (0) | 2020.10.09 |
[Java] 자바 DTO, Data Transmission Object (0) | 2020.10.09 |